새로운 터미널 환경에서 새로운 레포지토리(repository)라도 클론(clone)받으려고 하면 인증이 참 귀찮다. 웹에서 쓰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비밀번호 인증(Password Authentication)이 종료되었다는 오류로 실패하게 되기 떄문이다. 따로 깃헙의 개인 액세스 토큰(Personal Access Token)을 발급받거나, SSH key를 생성해야 하는데, 토큰의 권한도 관리해줘야하고, 여러모로 복잡하다. 그래서 나는 Github CLI로 로그인하는 방법을 선호한다. Github CLI를 이용하면 여러가지 편리한 방법으로 터미널에서 로그인을 할 수 있다.brew install gh // macOSapt install gh // Linuxgh auth login이 대화형..
게시글 작성 화면을 구현하려면, WYSIWYG 에디터를 사용하게 된다. ChatGPT의 추천으로 나는 TinyMCE라는 에디터를 선택했다. 이 에디터를 이용해 게시판 작성 화면을 구현하면서, 이미지와 파일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내가 작업한 내용을 이 글에서 소개한다. 나도 대부분의 코드 작성을 claude-3.5-sonnet(cursor AI)이라는 친구에게 맡기고, 이후 생긴 버그들을 디버깅한 정도라, 코드에는 개선의 여지가 더 많을 수 있다. 1. 사진/파일 업로드 하기문제상황TinyMCE의 이미지업로더(ImageUploadPicker)와 파일업로더(FileUploadPicker) 기능을 활용하고자 한다면, 이미지/파일을 어딘가에 업로드하고, 그 업로드된 URL을 반환해주는 핸들러 함수가 필요하다. ..
안드로이드 개발을 할 때,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맥북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유선연결은 여러가지 이유로 불편하죠.이 글에서는 두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보겠습니다. 아래의 과정을 따라갑니다.미리 말하자면, 휴대폰과 맥북이 같은 와이파이 위에 있어야합니다.adb(Android Debugger Bridge) 설치휴대폰 무선 디버깅 켜고 페어링/연결1. adb 설치adb는 Android Debugger Bridge의 약자로, 안드로이드 개발환경과 안드로이드 실기기의 연결을 도와주는 cli 입니다.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고, 설치 과정 중 sdk도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이미 설치가 되어있을것입니다.터미널에 adb 를 입력했을 때, adb의 버전넘버와 매뉴얼이 나온다면 이미 사용가능한 상태입니다.만약,..
쿠버네티스와 kubectl 커맨드 관련 작업을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보조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쿠버네티스를 처음 사용하거나, 새로 개발 환경을 세팅해야 할 때, 읽어보세요. k9s https://k9scli.io/ K9s - Manage Your Kubernetes Clusters In Style Who Let The Pods Out? K9s is a terminal based UI to interact with your Kubernetes clusters.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make it easier to navigate, observe and manage your deployed applications in the wild. K9s continually watches..
IDE 사용 중 실수로 서버 등을 실행해둔 채로, IDE를 종료하여, 어떻게 종료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 사용합니다. 특정 포트를 사용하고 있는 PID를 찾아서 그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면 됩니다. macOS와 Linux 모두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예시) 8050번 포트를 잡아먹고 있는 내 프로세스를 죽이고 싶다면 lsof -i tcp:8050 # 혹은 netstat -vanp tcp | grep 8050 # 에서 PID 확인 후 kill -15
oh-my-zsh은 멍청하고 입력이 불편한 터미널을 아주 똑똑하게 만들 수 있는 툴입니다. 맥북을 처음 구매했다면, 거의 필수로 깔아야하는 툴입니다. 설치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위 커맨드만 터미널에 입력해주면 설치는 끝입니다. oh-my-zsh는 기본적으로 온갖 alias를 제공합니다. alias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어떤 alias가 가능한지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alias 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으나, 홈으로 바로 이동시켜주는 ~ 와 현재 경로의 모든 파일을 보여주는 ls -al의 alias인 la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oh-my-..
맥북을 사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중 하나는 역시 터미널 꾸미기입니다. 저는 powerlevel10k로 터미널을 꾸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은 powerlevel10k readme 에서 필요한 내용만 재구성한 것입니다. 기본 환경 세팅 이전에는 iterm2와 zsh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zsh은 최신 맥북 OS 에서는 iterm2에 기본으로 깔려 있습니다. 설치 과정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순서대로 입력해줍니다. # powerlevel10k를 로컬에 설치하는 커맨드 입니다 git clone --depth=1 https://github.com/romkatv/powerlevel10k.git ~/powerlevel10k # 설치한 powerlevel10k 관련 내용을 zsh의 config 파일인 zs..